블로그 이미지
지누구루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Notice

2011. 10. 6. 11:38 카테고리 없음

아힌씨를 위한 초간단 고우키(아쿠마) 공략입니다.


[1] 좋은 기본기

1) 원거리 강발

아시다 시피. 2타로 나가는 원거리 강발은. 여러모로 좋습니다.
이유는. 거리를 좁힐수 있는 기본기.
2타가 맞는 거리에 따라 강제 연결로 콤보를 연결할수 있는 점.

이 매우 중요합니다.

대신 주의 할 점은. 덩치가 작은 캐릭의 경우. 2타를 치는 거리에 따라서.
2타가 히트 또는 가드 되지 않을 경우. 약 기본기로 시작한느 콤보에 노출되게 됩니다.
거리를 잘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포인트

2) 앉아 강손

모션은 위로 손을 올리는 모션으로. 원거리에선 안되지만. 근거리에서 대공용으로 쓸만하고.
아슬한 위치에서 역가드를 노리고 하는 점프는 거의 커트가 됩니다(안전 점프 제외)

강제 연결에도 사용할수 있지만. 앞쪽 히트 박스가 작아서 히트 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대공 이외에는 봉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서서 원거리 강손

앞으로 내지르는 정권 같은 느낌인데.
중간거리 견제용으로 타이밍 어긋나게 해서 카운터 내기 좋은 기술입니다.
(카운터가 나도 확정으로 들어가는 기술은 없습니다.)

앞쪽으로의 히트 박스가 매우 넓어서.
어중간한 거리에서 점프를 뛰어 오는 상대에겐. 타이밍을 살짝 조절하면 대공 용도로도 쓸수 있습니다.

4) 하단 강발

고우키 기본기중에. 가장 '사기' 스러운 기본기입니다.

발생 6프레임 으로 발동이 빠르긴 하지만. 상대가 가드시 경직이 -9라. 확정 반격은 많은 편입니다.
하지만. 가드시 -9 프레임이라도. 상대와의 거리가 벌어지기 때문에.
근거리에서 가드한 경우가 아니라면 반격할 기술이 없는 캐릭들이 많습니다.

게다가. 이 기본기를 사기로 만드는 이유는. 역시나 발동 6.
상대방이 고우키일 경우. 근거리에서 하단 강발을 가드 했다면 강발로 캐치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발동이 6이기 때문에.
서서 약손 -> 하단 강발. 강제 연결 콤이 들어가며. 여유 프레임이 2프레임이기 때문에.
넣기도 쉽습니다.

게다가 고우키는 상대를 넘어뜨린 이후에 여러가지 패턴이 좋기 때문에.
일단 이 강발로 넘어뜨리면 유리한 상황을 계속 이끌어 갈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한 기본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필살기

1) 호파동권(장풍) : 크게 할말이 없습니다.

2) EX 호파동권 

2히트. 맞으면 상대가 넘어집니다(류의 작열 파동권과 유사).
구석에서 히트 시켰을 경우. 승룡으로 공중에서 한번 더 때릴수 있습니다.

3) 작열 파동권(뒤로 장풍)

약으로 쓰면 1개. 중으로 쓰면 2개, 강으로 쓰면 3개의 장풍이 중첩됩니다.
사용법은 그냥 장풍과 섞어 써서. 가드 타이밍을 흐뜨러 뜨리는 용도지만.
사용후 딜레이가 엄청나기 때문에. 자주 쓰다간. 콤보 한세트...

4) 참공 파동권(공중 장풍)

약,중,강에 따라 날아가는 궤도가 다릅니다.
주의할 점은. 공중에 참공 파동을 사용할 경우.
그냥 뛰었다 내려오는것에 비교해서. 착지 경직이 생깁니다.
(EX로 쓰면 착지 경직이 줄어들긴 함)

주로 중간거리 견제용으로 사용하며. 상대방을 다운 시킨뒤 구석 패턴이나.
강제 가드. 깔아두기용으로 사용하기도 함.

구석패턴에서 좀더 자세히 다루겠음.

5) 호승룡

약승룡을 제외하곤 다단히트.
주의할 점은. 1타만 맞아선 상대가 넘어지지 않기 때문에.
중간거리에서 류처럼. 지르는 용도로 사용하기는 어려움.
(1타만 맞은 적이 콤보 한세트 넣어주심..)

약,중,강 다 발생 3프레임(류와 동일)
약 승룡은 1~2 프레임 무적이기 때문에.
발생 3프레임째는 무적이 아니라서. 같이 맞을 확률이 높음
중승룡은 1~5프레임 무적, 강 승룡은 1~6프레임 무적.

무적 프레임이 길고 다단 히트 계열의 강승룡의 경우.
EX 게이지만 있다면 일단 질러놓고.
보고 캔슬하는 것이 가능.
(켄이나 세스 동일)

기본적으로는 공방에서 "무적기"의 역할을 하고.
콤보에선. 공중 추격용으로 사용(약 용권이후)

EX의 경우 1~18 프레임 무적.
류의 EX 승룡보다 무적시간이 길기 때문에 같이 썼다면 고우키가 이김.

6) 용권 참공각

기본적으로는 다단히트 계열의 용권.
하지만 다단 히트인데 켄과 다르게 상대를 다운 시킴.

강이나 중 용권은 그냥 쌩으로 지르는 경우는. 잘 없고.
(장풍을 노린게 아니라면)
약 용권은 콤보용으로 사용.

공중 용권은.
점프 궤도를 변경하며 역가드 용으로 사용.
약가드 히트시. 상대에따라. 맞은 위치에 따라 추가타가 가능.
(하단 강발이나 승룡)


일단 이정도.
콤보/구석 패턴. 필드 패턴. 안전 점프 패턴은. 나중에.


[2] 콤보

(1) 하단 중발 -> 호파동 : 설명이 필요 없음

(2) 약 용권 -> 강승룡 : 역시 설명이 필요 없음

(3) 서서 근접 강펀 -> 약 용권 -> 강승룡

노게이지 일때는 이쪽 콤보가 거의 끝.


+ EX 게이지 소모형

호파동 이후 세캔 대시 서서 근접 강펀 -> 약용권 -> 강승룡

이 모든 콤보의 기본. 이며.

강승룡 2히트시에 저기서 한번더 캔슬 해서 강 작열 파동권이 들어감.
(하지만 데미지는 매우 구림)


+ 콤보 리셋형.

약 용권이후. 강승룡으로 마무리 하지 않고.

하단 중손 or 서서 강펀 -> 백귀습 으로 이어서 백귀습 심리전이 바로 다시 가능해집니다.

또는 하단 중손이나 서서 강펀으로 다시 상대를 일으킨후.

그냥 점프 중발로 역가드.
점프 천마 공인각으로 정가드.

백귀습으로도 정역을 흔들수 있으므로
패턴 연습이 중요함.

관련 영상이나 링크는 찾아보고 달아 놓겠음.


[3] 구석 패턴

상대방을 구석으로 몰아 놓고. 자신에게 유리한 턴이 돌아왔다면.

제가 쓰는 패턴은. 거리를 약간 벌린 상태에서(중공격이 끝에 걸리는 정도)

제자리 점프

그리고 강 참공파동 or 약 참공 파동.

강 참공 파동은 상대의 머리위를 지나가게 하므로. 가드되지 않고
약 참공은 상대가 가드 되는 위치로 떨어짐.

즉, 강 참공 파동을 헛치고 잡기
약 참공 파동을 가드시키고 잡기(or 혹시나 맞으면 콤보로 이어줌)

약참공 가드 후에는 잡기를 하든 타격기를 넣든 이지.

제가 쓰는 패턴일 뿐이니. 참고만 하시길.


이후엔 영상을 몇개 링크할 예정






posted by 지누구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