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8. 16. 15:47
카테고리 없음
간단하게 정리해 둡니다.
일단 G-Combo는 여러가지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원하는 형태의 신호로 바꾸어주는
VGA Upscan Converter 입니다.
만.
디지털 신호나 콤포넌트 신호에 대한 변환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요즘도 그런진 모르겠고 제가 들고 있는건 그렇습니다)
주로 게임기의 신호를 다른 디스플레이 기체에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며
대표적인 예가. 게임기 신호를 모니터 입력신호(D-Sub)로 변환시킬때 사용합니다.
하지만 모니터 자체가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반면.
기존의 게임기들은 매우 낮은 해상도로 영상을 출력하기 때문에
(기존의 아날로그 TV의 해상도가 매우 낮습니다)
게임기 영상을 G-Combo를 이용해서 신호 변환을 통해 모니터로 뿌리면.
티브이를 볼때처럼 자연스럽지 못하고 좀 깨져 보이는 듯한 느낌이 드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건 티브이 수신카드를 써도 마찬가지임)
일단 G-Combo의 상단 사진입니다.
네.
1이라고 표시한 부분은 사진이 흐려서 잘 보이지 않지만.
왼쪽이 PC, 오른쪽이 Game 입니다.
PC쪽으로 해놓으면 입력이 PC쪽 D-Sub 신호를 타고
Game으로 해놓으면 그이외의 Video input 신호를 사용합니다.
게임기 신호를 바꾸어 모니터에 뿌리는 거라면 'GAME'으로 설정해 놓아야 합니다.
2라고 표시된 부분의 2개의 버튼은. 하나는 'UP', 다른 하나는 'DOWN'입니다.
G-Combo OSD(On Screen Display)를 띄웠을때(쉽게 말하면 메뉴요)
메뉴에서 선택한 수치를 변경할때 up, down 버튼을 눌러서 변경합니다.
D-Sub 단자 쪽입니다
적혀 있는 그대로 입니다.
PC D-Sub 로부터 올라오는 신호는 왼쪽에 꽂아서 받아야 하고.
모니터 D-Sub로 넣는 신호를 오른쪽에 꽂아야 합니다.
게임기에서 모니터로 신호를 보낼때는 모니터쪽으로 연결되는 'TO MONITOR"에
D-Sub 케이블을 연결해야 합니다.
제일 중요한 부분입니다.
사진에는 잘 안보이는 맨 왼쪽의 동그란 입력부분은
S-Video 입력을 받는 부분입니다.
(S-Video는 컴포지트 신호보다 영상 입력핀이 많아서. 좀더 고화질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컴포넌트 신호보다는 질이 떨어집니다. 화질은 컴포넌트 > S-Video > 컴포지트 순입니다)
그 오른쪽은 일반적인 게임기에서 사용하는 컴포지트 신호 단자입니다.
컴포지트 단자는 총 3개의 케이블로 구성되는데.
노란색 신호가 비디오 신호.
하얀색과 빨간색이 오디오 신호로. 좌우 오디오 신호라고 보시면 됩니다.
컴포지트 신호 입력 오른쪽은 오디오 IN/OUT으로
PC입력 출력. 스피커 입력 출력을 의미합니다.
스피커로 연결할 곳에 스테레오 연결 케이블(.. .이게 크기가 얼마짜리 였더라- _-)을
연결해서 스피커로 연결해주시면 됩니다.
(주의 할 점은 스피커가 외부 입력을 받을수 잇는 스피커 인지 확인을 하셔야 합니다.
보통 AUX/IN 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만약 입력을 받을수 있는 스피커가 없다면 PC로 신호를 넣으신뒤에.
다시 PC에서 입력을 출력시키는 형태로 사용해서라도 출력은 가능하지만 비추 합니다-_-)
DC 5V라고 연결된 곳은 전원 입력부분으로
5V 아답터로 전원을 공급해주시면 됩니다. 아답터가 없을 경우엔
저처럼 USB 전원 케이블로 PC에 연결해주시면 됩니다.
DC 5V 옆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은 정확한 명칭은 잘 모르곗는데
PS2의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받는 케이블이 달려 있습니다.
(PS3도 되는진 미확인입니다)
PS2를 연결하는 거라면 위에서 연결했던 컴포지트 케이블 대신에.
그냥 이걸 PS2에 꽂으시면 됩니다.
1로 표시된 부분은 OSD(On Screen Display)표시 여부로
GAME에 맞춰 놓으면 그냥 게임이 나오고 OSD로 맞춰 놓으면
G-Combo 의 여러가지 설정을 할 수 있는 OSD가 출력됩니다.
OSD가 출력되고 나면 2에 있는 V-Source 버튼을 이용해서. 메뉴를 바꾸고
위에서 설명했던 UP, DOWN 버튼으로 수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원래 V-Source 버튼은 비디오 소스를 선택하는 용도라고 생각했는데.
그냥연결해도 바로 나와서... 잘모르곘네요 -0-)
전체 연결 그림을 보시면
요렇게 됩니다.
끝~~~
일단 G-Combo는 여러가지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원하는 형태의 신호로 바꾸어주는
VGA Upscan Converter 입니다.
만.
디지털 신호나 콤포넌트 신호에 대한 변환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요즘도 그런진 모르겠고 제가 들고 있는건 그렇습니다)
주로 게임기의 신호를 다른 디스플레이 기체에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며
대표적인 예가. 게임기 신호를 모니터 입력신호(D-Sub)로 변환시킬때 사용합니다.
하지만 모니터 자체가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반면.
기존의 게임기들은 매우 낮은 해상도로 영상을 출력하기 때문에
(기존의 아날로그 TV의 해상도가 매우 낮습니다)
게임기 영상을 G-Combo를 이용해서 신호 변환을 통해 모니터로 뿌리면.
티브이를 볼때처럼 자연스럽지 못하고 좀 깨져 보이는 듯한 느낌이 드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건 티브이 수신카드를 써도 마찬가지임)
일단 G-Combo의 상단 사진입니다.
네.
1이라고 표시한 부분은 사진이 흐려서 잘 보이지 않지만.
왼쪽이 PC, 오른쪽이 Game 입니다.
PC쪽으로 해놓으면 입력이 PC쪽 D-Sub 신호를 타고
Game으로 해놓으면 그이외의 Video input 신호를 사용합니다.
게임기 신호를 바꾸어 모니터에 뿌리는 거라면 'GAME'으로 설정해 놓아야 합니다.
2라고 표시된 부분의 2개의 버튼은. 하나는 'UP', 다른 하나는 'DOWN'입니다.
G-Combo OSD(On Screen Display)를 띄웠을때(쉽게 말하면 메뉴요)
메뉴에서 선택한 수치를 변경할때 up, down 버튼을 눌러서 변경합니다.
D-Sub 단자 쪽입니다
적혀 있는 그대로 입니다.
PC D-Sub 로부터 올라오는 신호는 왼쪽에 꽂아서 받아야 하고.
모니터 D-Sub로 넣는 신호를 오른쪽에 꽂아야 합니다.
게임기에서 모니터로 신호를 보낼때는 모니터쪽으로 연결되는 'TO MONITOR"에
D-Sub 케이블을 연결해야 합니다.
제일 중요한 부분입니다.
사진에는 잘 안보이는 맨 왼쪽의 동그란 입력부분은
S-Video 입력을 받는 부분입니다.
(S-Video는 컴포지트 신호보다 영상 입력핀이 많아서. 좀더 고화질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컴포넌트 신호보다는 질이 떨어집니다. 화질은 컴포넌트 > S-Video > 컴포지트 순입니다)
그 오른쪽은 일반적인 게임기에서 사용하는 컴포지트 신호 단자입니다.
컴포지트 단자는 총 3개의 케이블로 구성되는데.
노란색 신호가 비디오 신호.
하얀색과 빨간색이 오디오 신호로. 좌우 오디오 신호라고 보시면 됩니다.
컴포지트 신호 입력 오른쪽은 오디오 IN/OUT으로
PC입력 출력. 스피커 입력 출력을 의미합니다.
스피커로 연결할 곳에 스테레오 연결 케이블(.. .이게 크기가 얼마짜리 였더라- _-)을
연결해서 스피커로 연결해주시면 됩니다.
(주의 할 점은 스피커가 외부 입력을 받을수 잇는 스피커 인지 확인을 하셔야 합니다.
보통 AUX/IN 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만약 입력을 받을수 있는 스피커가 없다면 PC로 신호를 넣으신뒤에.
다시 PC에서 입력을 출력시키는 형태로 사용해서라도 출력은 가능하지만 비추 합니다-_-)
DC 5V라고 연결된 곳은 전원 입력부분으로
5V 아답터로 전원을 공급해주시면 됩니다. 아답터가 없을 경우엔
저처럼 USB 전원 케이블로 PC에 연결해주시면 됩니다.
DC 5V 옆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은 정확한 명칭은 잘 모르곗는데
PS2의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받는 케이블이 달려 있습니다.
(PS3도 되는진 미확인입니다)
PS2를 연결하는 거라면 위에서 연결했던 컴포지트 케이블 대신에.
그냥 이걸 PS2에 꽂으시면 됩니다.
1로 표시된 부분은 OSD(On Screen Display)표시 여부로
GAME에 맞춰 놓으면 그냥 게임이 나오고 OSD로 맞춰 놓으면
G-Combo 의 여러가지 설정을 할 수 있는 OSD가 출력됩니다.
OSD가 출력되고 나면 2에 있는 V-Source 버튼을 이용해서. 메뉴를 바꾸고
위에서 설명했던 UP, DOWN 버튼으로 수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원래 V-Source 버튼은 비디오 소스를 선택하는 용도라고 생각했는데.
그냥연결해도 바로 나와서... 잘모르곘네요 -0-)
전체 연결 그림을 보시면
끝~~~